안드로이드 앱을 만들고 싶으신가요? 그런데 코딩은 모르겠고,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시죠? 걱정 마세요!
요즘은 구글플레이 노코드 사이트 덕분에 초보자도 손쉽게 앱을 만들고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업로드할 수 있어요.
이 글에서는 무료와 유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앱 제작 사이트 비교하고 꿀팁까지 알려드립니다.
안드로이드 앱 개발 시작
초보자라면 무료 플랫폼부터 시작하는 게 부담이 없겠죠? 아래는 제가 사용해본 무료 앱 제작 사이트입니다.
- Thunkable: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간단한 앱 제작 가능. 무료 플랜으로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며, 안드로이드와 iOS 모두 지원.
- Kodular: 구글 애드몹 광고 통합 가능. 광고를 통해 수익화도 가능하며, 무료로 사용 가능.
- MIT App Inventor: 교육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며, 초보자가 배우기 쉬운 인터페이스 제공.
💡Tip: Thunkable의 무료 플랜은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하므로, 복잡한 기능이 필요하면 유료구독이 필요합니다.
유료 노코드 플랫폼 비교
좀 더 고급 기능이 필요하거나 상업적 목적으로 앱을 개발한다면 유료 플랫폼이 적합합니다. 아래는 대표적인 유료 플랫폼들의 비교입니다.
플랫폼 | 주요 기능 | 가격 | 장점 | 단점 |
---|---|---|---|---|
AppMaster.io | 백엔드, 웹 및 모바일 앱 통합 제작 가능. Jetpack Compose와 Kotlin 지원. | $165/월 (프로 플랜) | 강력한 백엔드 생성 기능과 소스 코드 제공. | 비싼 가격과 복잡한 인터페이스. |
Bubble | 웹 중심의 노코드 플랫폼, API 통합 및 데이터 처리 지원. | $29/월 (스타터 플랜) |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와 반응형 디자인. | 모바일 앱 제작에는 한계. |
Adalo |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제작, 드래그 앤 드롭 방식. | $50/월 (프로 플랜) | 직관적인 UI와 다양한 사전 구축 템플릿. |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는 적합하지 않음. |
💡Tip: AppMaster.io는 소스 코드까지 제공하므로 장기적으로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프로젝트에 적합합니다!
구글앱 마켓 업로드 하기
앱을 다 만들었으면 이제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 업로드해야겠죠?
- 구글 개발자 계정 등록: $25의 1회 등록비가 필요합니다.
- .apk 또는 .aab 파일 준비: 앱 빌더에서 생성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.
- 스토어 설명 작성: 제목, 설명, 스크린샷 등을 준비하세요.
- 업로드 및 검토 요청: 구글에서 검토 후 승인되면 스토어에 게시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