버튼1 버튼2 버튼3
ISA 절세 예상금액 계산기

ISA 절세 예상금액 계산기

❗투자도 중요하지만 세금을 얼마나 절약하느냐가 진짜 수익을 좌우합니다. ISA 계좌로 얻을 수 있는 절세계산,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.
ISA 절세 예상금액 계산기

ISA 절세 예상금액 계산기

비과세 금액: 200만원
총 금융소득 0원
ISA 비과세 금액 0원
ISA 과세 대상 금액 0원

세금 비교

🎯 ISA 계좌 투자시
비과세 적용 0원
과세분 세금 (9.9%) 0원
총 세금 0원
💼 일반 투자시
전체 금융소득세 (15.4%) 0원
총 세금 0원
🔥 ISA 계좌 절세 효과
0원 절약
ISA 계좌로 투자하면 일반 투자 대비 이만큼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!

세금 예시

ISA 계좌에서 발생한 금융수익 1,000만 원에 대한 세금 계산 예시

1. 일반형 ISA (비과세 한도 200만 원)
• 총 수익금: 1,000만 원
• 비과세: 200만 원
• 과세 대상 금액: 1,000만 원 - 200만 원 = 800만 원
• 적용 세율: 9.9% (지방소득세 포함)
최종 세금: 800만 원 × 0.099 = 79만 2,000원
2. 서민형 ISA (비과세 한도 400만 원)
• 총 수익금: 1,000만 원
• 비과세: 400만 원
• 과세 대상 금액: 1,000만 원 - 400만 원 = 600만 원
• 적용 세율: 9.9% (지방소득세 포함)
최종 세금: 600만 원 × 0.099 = 59만 4,000원

참고사항

📢 2025년 정책 변경 예정

2025년 기재부 오피셜 상향 조정 예정:

• 비과세 한도: 일반형 200만원 → 500만원, 서민형 400만원 → 1,000만원

• 연간 납입한도: 2,000만원 → 4,000만원 (총 한도: 1억원 → 2억원)


🎯 분리과세 혜택

ISA 계좌에서 발생한 수익은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합산되지 않고, 비과세 한도(일반형 200만 원, 서민형 400만 원)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9.9%의 세율로 분리과세됩니다.


즉, ISA 계좌 외에 다른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금융소득이 2,000만 원을 초과하여 종합과세 대상이 되더라도, ISA 계좌의 수익은 다른 소득과 합산되지 않고 별도로 분리과세되기 때문에 세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

⚠️ 주의할 점

• ISA 계좌 가입 시점 기준으로 직전 3개년 동안 한 번이라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였던 사람은 ISA 계좌 가입이 제한됩니다.


• 최근 신설된 '국내 투자형 ISA'의 경우,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도 가입이 가능하지만 비과세 혜택은 없고 9.9% 분리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.

💰 과세이연 효과

ISA는 계좌를 해지하거나 만기 시점에 한꺼번에 세금을 정산합니다. 매년 수익이 발생할 때마다 세금을 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, 발생한 수익금으로 다시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
⚠️ 면책사항
본 계산기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. 실제 절세 금액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(연 2,000만원 초과)는 자격 조건에 따라 분리과세가 제한될 수 있으니, 이 경우 반드시 금융기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📌작은 절세가 모여 큰 자산이 됩니다. 지금 바로 ISA를 활용해 보세요. 계산기 결과를 바탕으로 나만의 투자 전략을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?
다음 이전